Back to Menu
인공지능(AI)은 첨단 반도체 기술에 의해 구동되며, 세계 주요 경제권에서 대두되는 노동력 성장의 둔화와 국가 부채 증가 문제를 상쇄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을 제공합니다. AI는 생산성을 대규모로 향상시켜 생활 수준 하락을 막고, 보다 공정한 소득 분배를 형성하며, 정치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전을 뒷받침할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computing superstructure)를 구축하는 일은 전 세계 에너지 수요를 근본적으로 재편할 것입니다.
추가적인 전력 수요는 매우 커서, 단순히 새로운 청정(또는 무탄소) 에너지원을 도입하거나 기존 에너지원을 대폭 확장하는 방식으로는 충분하지도 효율적이지도 않습니다. 지속 가능한 풍부한 에너지 확보를 위해서는 전력망 자체의 구조를 전면적으로 재편해야 합니다.탄소 배출이나 ‘친환경' 에너지와 같은 일부 변수에만 집중할 경우, 오히려 불필요하게 취약한 시스템이 만들어 질 위험이 있습니다. 거시경제, 지정학, 기후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첨단 컴퓨팅 인프라를 확산하고 풍부한 에너지를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보고서는 AI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풍부한 에너지 공급을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a) 전력망 탈탄소화, (b) 에너지 효율적 컴퓨팅, (c)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기회 창출 및 수익 실현 전력망 탈탄소화를 위해서는 (i) 에너지 생산량 증대, (ii) 전력망 현대화 및 확장, (iii) 청정에너지원 중심으로의 에너지 혼합 전환이 필요합니다. 에너지 효율적 컴퓨팅을 위해서는 (i) 컴퓨팅 아키텍처, 설계 및 제조 최적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 수립, (ii) 효율성과 저감 효과를 높이는 팹 솔루션 도입, (iii) 청정(또는 무탄소) 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반도체 팹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도체의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해서는 업계 전반에 걸친 고속 공동 혁신을 위한 새로운 협업 모델이 필요합니다.
AI를 위한 지속 가능한 풍부한 에너지 공급을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은 (a) 전력망 탈탄소화, (b) 에너지 효율적 컴퓨팅, (c)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기회 창출 및 수익 실현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됩니다.
전력망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은 해당 전력망의 배출 특성을 그대로 따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기업에 있어 탄소 배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전력망과 관련된 배출이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지속 가능성 접근법에서는 기업들이 전력망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을 상쇄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전력망 자체를 청정 에너지로 전환하는데 덜 집중했습니다. 어플라이드가 제안하는 새로운 전략은 AI 확산을 가속화하기 위해 청정(또는 무탄소) 에너지 기반의 전력망 인프라를 우선시합니다.
감사의 말
본 보고서의 개발 과정에서 전문적인 통찰과 지원을 아끼지 않은 모든 내부 및 외부 필진과 파트너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순딥 바지카르
아시브 샤
딘 라모스
코스타스 말리오스
크리스 리브리
엘레나 코체로브스키
나스린 초프라
데이비드 브리츠
옴 날라마수
트리스탄 홀탐
달랄 슬리마니(슈나이더 일렉트릭)
라지브 케마니(아우라딘)
알렉산더 란디아(더 모빌리티 하우스)
야구치 준이치로(키옥시아)
도 카즈히로(도쿄 일렉트론)
클레어 서
캐리 맥길리브레이(테크인사이트)
프라빈 도우자(타타 일렉트로닉스)
엘리자베스 엘로이(마이크론)
마샬 체이스(마이크론)
브라이언 데이글(마이크론)
닐 샤(카운터포인트)
헤르베 모리(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제임스 코노튼(JLC 스트래티지스)
앤디 카스너(스탠포드 대학교 프리코트 연구소)
피터 콜로한(링컨 연구소)
야니스 차키리스(유럽 투자 은행)
헨델 존스(IBS)
AI 시대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풍부한 에너지 공급 실현